고양이 이야기

고양이가 사료를 잘 안 먹는 이유와 해결 방법!

고양이가 사료를 잘 안 먹어요!

사료를 잘 안 먹는 고양이 때문에 걱정되시나요?
아무리 여러가지 사료를 시도해봐도 도통 잘 먹지를 않고 손으로 떠 먹여줘야 먹는 고양이들이 있습니다. 자꾸 간식만 먹으려고 하고 사료는 거들떠 보지도 않는 아이들도 있고요. 원래 잘 먹었었는데 어느 순간부터 먹는 양이 줄어들어 살이 빠지기도 해요.
특유의 습성 때문에 아픈 티를 잘 내지 않는 고양이들이 잘 먹지 않는다면 건강에 큰 문제가 생긴 것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의외로 건강상의 문제가 아닌 다른 이유로 고양이가 사료를 잘 안 먹기도 하는데요.
어떤 경우가 정상이고 비정상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경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도 알려드릴게요!


1.정상(건강문제 no)

  1. 잘 나눠 먹고 있는 경우
    – 고양이의 습성상 하루에 10-20번까지도 조금씩 나눠서 먹을 수 있다.
    – 집에 사는 고양이들은 그보다는 적은 5-6회 정도 나눠서 먹기도 한다.
    – 주자 마자 고양이가 사료를 먹어 치우지 않아도 괜찮다.
    – 하루에 먹어야 할 양을 24시간 내에 먹어주기만 하면 OK.
  2. 사료가 마음에 안들 때
    – 지금 먹이는 사료가 고양이 취향이 아닐 수 있다.
    – 고급 사료는 없다. 내가 먹이고 싶은 사료 말고 고양이가 좋아하는 사료를 주자.
    – 처방식도 잘 먹어야 쓸 수 있다. 잘 안 먹고 살이 빠진다면 사용해서는 안된다.
    – 고양이는 맛보다는 냄새와 질감으로 먹는다. 공기나 직사광선에 오래 노출되어 변패되었을 수도 있다. 알갱이 크기가 마음에 들지 않을 수도 있다.
    음식이 마음에 들지 않을 때 고양이들이 보이는 행동이 있다.
    : 그릇 주변을 발로 긁기, 코를 자꾸 혀로 핥기, 귀를 털고 과도한 그루밍, 음식 조각을 일부러 떨어뜨리기도 함
    – 여러 가지 사료를 두고 기호성 테스트를 해서 잘 먹는 사료를 찾아야 한다.
    – 똑같은 사료라도 소량씩 주면 더 잘 먹을 수 있다.
    – 서늘하고 직사광선 들지 않는 곳에 사료를 보관하기(냉장보관 금지)
  3. 사람이 먹여주는 버릇이 들었을 때
    – 먹는 것, 싸는 것, 자는 것 등 필수적인 행동들은 스스로 해야 한다.
    – 사료를 줬을 때 바로바로 먹어줬으면 하는 마음에 손으로 떠 먹이는 버릇이 생기면 스스로 먹지 못할 수도 있다.
    – 고양이들이 먹을 것을 요구할 때 바로바로 반응하지 말고 스스로 알아서 먹게 만들어야 한다.
    – 고양이가 사료를 먹을 때마다 옆에서 쓰다듬어 주는 행동도 금기
  4. 동거묘에게 뺏기고 있을 때
    – 스스로 조금씩 나눠 먹는 성향의 고양이인데 동거묘는 급하게 다 먹어 치우는 스타일일 때
    – 먹는 장소를 여러 곳으로 분산 시켜서 각자 편하게 먹게 해주기
    – 자동 급이기를 활용하는 것도 좋다.
    – 체구 차이가 크다면 날씬한 고양이만 갈 수 있는 공간에 사료를 제공해주기
    – 칩을 목에 걸고 있으면 열리는 식기 등을 활용해서 특정 고양이만 편하게 언제든 먹을 수 있게 해주기
  5. 사료 먹는 장소가 불편할 때
    – 어떤 고양이들은 먹는 장소에서 불안을 느껴 덜 먹기도 한다.
    – 고양이는 먹을 때 본능적으로 주변을 경계하는 습성이 있다.
    – 사료 그릇 주변에 갑자기 열리는 문(현관 등), 시끄러운 기계(세탁기 등) 등이 있는지 확인 후 편안한 장소로 옮겨준다.
    – 사료 그릇을 벽에 붙이지 않고 떨어뜨려 놓아 벽을 등지고 먹을 수 있게 해준다.


2.비정상(문제 Yes)

  1. 구강 질환
    – 치주 질환, 구내염, 치아 흡수성 병변 등 입의 통증이 원인일 수 있다.
    – 부정 교합으로 잘 못 먹는 경우도 종종 있다.
    – 병원에서 진료 후 적절한 치과 치료를 진행한다. 발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 구내염의 경우 전발치 후 치료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평생 스테로이드를 먹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2. 스트레스
    – 장기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식욕 부진을 겪기도 한다.
    – 건강 문제도 만성 스트레스의 원인일 수 있어 건강검진이 우선이다.
    – 건강에 문제가 없다면 행동학 진료를 통해 적절한 해결방법을 찾아야 한다.
  3. 내과 질환
    – 고양이에게 식욕 부진을 유발하는 내과 질환은 매우 다양하다.
    – 대표적으로 췌장염, 신부전, 위장관 질환, 종양성 변화 등이 있다.
    – 종합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아픈 곳이 없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고양이가 사료를 잘 안 먹는지 확인하려면?

  1. 매일 사료 무게를 재서 준다.
    – 일반적으로 60g이 무난하지만 고양이의 체중, 체형, 상황에 따라 급여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진료 후 수의사에게 적정 급여량에 대한 조언을 듣는 것이 도움이 된다.
  2. 적어도 4주에 한 번은 체중을 측정한다.
    – 의외로 체중이 빠지고 있는 것을 놓치기 쉽다.
    – 고양이가 사망하기 2년 전부터 체중 감소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체중 감량을 시도하지 않았는데도 체중이 줄고 있다면 병원에 방문해 보자.
  3. 주기적으로 병원에 방문한다.
    – 적어도 6개월에 한 번은 병원에 방문하자.
    – 구강체크나 체중, 체형 체크만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
    – 1년에 한 번은 건강검진을 해주자.(10세 이상: 6개월에 한 번)
    – 의외로 집에서 체중 측정이 어려운 경우도 많다.
김 태협

고양이만 진료하는 수의사. 11년째 고양이와 살고 있습니다.

Recent Posts

우리는 매일 멀어지는 중입니다.

우주는 계속해서 팽창하고 있습니다. 은하계 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지고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공간은 넓어지고 있습니다.우주의…

2개월 ago

실패를 반복하는 삶

저는 매일 실패를 반복합니다. 실패를 해서는 안 되는 직업을 가졌음에도 자주 실패합니다. 그렇게 실패한 선택지를…

4개월 ago

밤에 우는 고양이, 원인과 해결법 5가지!

고양이랑 살면 아침까지 숙면을 취하기가 쉽지 않죠?고양이들이 이른 아침이나 새벽에 우리를 깨우기 때문인데요.이럴 때 여러분은…

4개월 ago

아무도 너를 혼내지 않을거야

'어떻게 하면 혼나지 않을까?'제가 어려서부터 40평생 매일 해 온 생각입니다. 나이도 먹을 만큼 먹어 놓고…

6개월 ago

나는 왜 고양이 수의사가 되었을까

나는 어쩌다 여기까지 오게 됐을까? 문득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이 길을 가려고 했던 것은…

10개월 ago

친절함에 관하여

처음에는 모두에게 잘 보이고 싶었습니다.그렇게 하지 않으면 다시는 저를 찾지 않을 것 같았거든요. 저는 누군가와…

12개월 ago